-7월 22일 고 최숙현 선수 사망 관련 청문회, 핵심 가해자는 나오지 않았다

-“학창 시절 운동보다 힘든 건 감독, 코치, 선배들의 눈치를 봐야 하는 분위기”

-“우린 감독, 코치의 폭력이 나를 위한 것이라고 배웠다”

-“해결책? 세상에 밥줄이 끊기는 것만큼 두려운 것은 없다”

7월 22일 고 최숙현 선수 청문회에 참석한 경주시청 트라이애슬론 김도환 선수(사진=엠스플뉴스)
7월 22일 고 최숙현 선수 청문회에 참석한 경주시청 트라이애슬론 김도환 선수(사진=엠스플뉴스)

[엠스플뉴스=여의도]

고(故) 최숙현 선수에게 폭언·폭행을 한 걸 본 적이 있다. 나 또한 담배를 피우다 걸려 야구 방망이로 100대를 맞은 경험이 있다.

7월 22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고 최숙현 선수 사망 관련 청문회에 참석한 경주시청 트라이애슬론(철인3종경기) 김도환 선수의 증언이다.

경주시청 김규봉 감독, 안주현 팀 닥터, 주장 장윤정 등의 폭언·폭행은 일상이었다. 피해를 주장한 김도환 선수 역시 2016년 뉴질랜드 전지훈련 당시 육상 훈련 중 고 최숙현 선수가 앞길을 가로막는다는 이유로 뒤통수를 가격한 적이 있다고 시인했다.

폭언·폭행은 운동선수의 필수 경험이다?

고(故) 최숙현 선수의 아버지 최영희 씨는 “숙현이의 억울한 죽음을 끝까지 밝혀달라“면서 “더는 억울하게 당하는 운동선수가 나오지 않도록 '최숙현법'을 꼭 입법해주길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호소했다(사진=엠스플뉴스 이근승 기자)
고(故) 최숙현 선수의 아버지 최영희 씨는 “숙현이의 억울한 죽음을 끝까지 밝혀달라“면서 “더는 억울하게 당하는 운동선수가 나오지 않도록 '최숙현법'을 꼭 입법해주길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호소했다(사진=엠스플뉴스 이근승 기자)

7월 22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고 최숙현 선수 사망 관련 청문회엔 핵심 가해자로 꼽히는 경주시청 김규봉 감독, 안주현 팀 닥터, 주장 장윤정은 출석하지 않았다. 김 감독은 경찰 수사 중이고, 안주현 팀 닥터는 우울증으로 인한 극심한 스트레스로 청문회에 참석하지 않았다. 장윤정은 연락이 두절된 상태다.

박 정 의원실 관계자는 7월 21일 청문회 증인들에게 동행명령장을 발부했다동행명령을 거부할 경우 국회 증언감정법 제13조에 의거 5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여·야가 협의해 고발 조치에 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고 최숙현 선수는 6월 26일 23살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다. 최숙현 선수는 복숭아 1개를 먹었다는 이유로 감독에게 구타를 당했다. 2016년 8월엔 점심에 탄산음료를 마셨다는 이유로 빵 20만 원어치를 강제로 먹어야 했다. 팀 내 가혹행위와 폭언·폭행 등에 시달리다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이다.

고 최숙현 선수는 용기를 내 소속팀 경주시청, 철인3종협회, 대한체육회 산하 클린스포츠센터, 국가인권위원회, 경찰 등에 도움을 요청했지만 아무런 도움을 받지 못한 채 숨을 거뒀다.

이 소식을 접한 프로농구 선수 A 씨는 고 최숙현 선수와 인연은 없지만 굉장히 마음이 아프고 남 일 같지 않다체육계 폭언·폭행은 뿌리 깊은 역사가 있다. 한국에서 폭언·폭행 경험이 없는 운동선수를 찾는 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농구를 처음 시작했을 때부터 가장 힘들었던 건 운동이 아니었다. 매일 감독, 코치, 선배들의 눈치를 봐야 하는 게 고통스러웠다. 학창 시절엔 운동에만 집중할 수 없었다. 경기 중에 실수라도 하는 날엔 정신이 나갔다. 경기 후 감독, 코치, 선배들에게 폭언·폭행에 시달릴 게 확실했기 때문이다.A 씨가 떠올린 학창 시절이다.

1970~80년대 한국 축구 대표팀에서 활약한 B 씨 역시 똑같은 경험을 이야기했다. B 씨의 경험은 체육계 폭언·폭행의 역사가 깊다는 걸 증명한다.

‘선배는 하나님과 동격이다’ ‘선배의 말은 곧 법이다’란 걸 매일 복창했다. 후배란 이유로 선배들의 빨래를 책임졌고, 밤중에 라면을 끓여서 가져다주는 등 잔심부름을 했다. 선배들보다 좋은 경기력을 보였다는 이유로 동기들을 집합 시켜 얼차려를 준 적도 있다. 지금도 이와 같은 악습이 남아있다는 건 아주 가슴 아픈 일이다.

"세상에 나를 위한 '폭력'은 없습니다“

청문회에 참석한 대한체육회 이기흥 회장. 고 최숙현 사태와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기 위해선 체육계가 피해자를 보호하고 가해자를 확실히 처벌한다는 확신을 심어줘야 한다는 공통된 주장이 나온다(사진=엠스플뉴스 이근승 기자)
청문회에 참석한 대한체육회 이기흥 회장. 고 최숙현 사태와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기 위해선 체육계가 피해자를 보호하고 가해자를 확실히 처벌한다는 확신을 심어줘야 한다는 공통된 주장이 나온다(사진=엠스플뉴스 이근승 기자)

더불어민주당 임오경 의원은 7월 22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고 최숙현 선수 사망 관련 청문회에서 이런 말을 전했다.

여러 선수를 만났다. 김규봉 감독은 선수들을 모아놓고 어마무시한 말을 했다. ‘때린 것은 인정하나 내 밥줄을 건드리는 것은 인정 못한다’ ‘내 등에 칼 꽂는 제자는 가만 안 둔다’ ‘내가 너희들을 만들었고 너희들은 나 때문에 좋은 성적을 내고 있는 것이다’ 등이다.

여기서 주목할 건 ‘내가 너희들을 만들었고 너희들은 나 때문에 좋은 성적을 내고 있는 것’이란 문구다.

체육계엔 폭언·폭행이 한계를 뛰어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믿음이 있다. 선수가 포기하고 싶은 마음이 들 때 외부에서 강한 압력이 들어가면 더 큰 선수로 성장할 수 있다는 확신이다.

올림픽 메달리스트인 C 씨는 폭언·폭행은 큰 선수로 성장하기 위해 꼭 필요하다고 배웠다. 감독이 폭력을 행사하는 건 다 나를 위한 것이었다. 내가 손찌검당한 걸 안 부모님은 딱 한 마디 했다. ‘이겨내라’였다. 많은 선수가 이러한 환경에서 성장해 올림픽에서 메달을 땄다. 그리고 그렇게 배워온 선수들이 지도자가 됐다. 폭언·폭행 피해자를 보호하고 가해자를 확실히 처벌한다는 확신만이 뿌리 깊은 체육계의 잘못된 문화를 바꿀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체육계에 폭언·폭행 피해자를 보호할 기구가 없는 건 아니다. 대한체육회엔 클린스포츠센터가 있다. 국가인권위원회엔 스포츠인권특별조사단이 있다. 고 최숙현 선수는 철인3종협회와 경주시청에도 도움을 요청했다. 8월 5일엔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스포츠윤리센터가 문을 연다. 체육지도자에 대한 자격 취소·정지 요건, 선수 보호를 강화하는 기구다.

법무법인 (유한) 현 박지훈 변호사는 체육계 선수를 보호할 기구나 법이 부족한 건 아니라며 고 최숙현 사태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선 체육계의 의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형법 260조 제1항엔 ‘사람의 신체에 대해 폭행을 가한 자는 2년 이하의 징역,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나와 있다. 제264조엔 ‘상습으로 제260조의 죄를 범한 때는 그 죄에 정한 형의 2분의 1까지 가중한다’고 명시돼 있다. 체육계 폭언·폭행이 끊이질 않는다는 건 결국 법이 두렵지 않다는 뜻박 변호사의 얘기다.

그렇다면 법률을 강화하는 것만이 지금도 폭언·폭행에 시달리고 있는 선수들을 보호할 방법일까. 박 변호사는 답은 나와 있다세상에 밥줄이 끊기는 것만큼 두려운 건 없다고 말했다.

대한철인3종협회 스포츠공정위원회는 7월 6일 고 최숙현 선수에게 폭언·폭행을 일삼은 김규봉 감독, 장윤정에게 영구제명 징계를 내렸다. 또 다른 가해자로 지목된 김 모씨에겐 자격정지 10년이 주어졌다. 아직 경찰 조사가 진행 중이지만 폭행 사실이 명확하다고 판단해 이와 같은 결정을 내렸다. 박 변호사가 체육계 의지를 강조했던 건 이 때문이다.

이근승 기자 thisissports@mbcplus.com

저작권자 © 스포츠춘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 후원하기 후원하기